지난번에는 리눅스와 macOS 환경에 Hugo를 설치하는 과정을 다루었습니다. 성공적으로 Hugo를 설치하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콘텐츠를 채워나갈 차례입니다.
오늘은 Hugo 사이트에 새로운 글을 추가하는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Hugo의 기본 명령어인 hugo new
를 사용하는 방법과, 이미 작성된 마크다운(.md) 파일을 직접 가져와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과 사용법을 명확히 이해하면 콘텐츠를 훨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hugo new
명령어 사용하기#
hugo new
는 Hugo에서 새 콘텐츠를 생성하는 공식적이고 가장 권장되는 방법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단순한 파일 생성을 넘어, 미리 설정된 양식(Archetype)에 따라 글의 기본 구조를 자동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Front Matter란?#
hugo new
를 이해하려면 먼저 Front Matter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Front Matter는 마크다운 파일의 가장 윗부분에 위치하는 정보 덩어리로, 해당 콘텐츠의 데이터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글의 제목, 작성일, 초안(draft) 상태, 태그, 카테고리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Hugo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사이트를 생성하고 콘텐츠를 분류합니다.
주로 YAML(---
) 또는 TOML(+++
) 형식을 사용합니다.
hugo new
명령어 사용법#
터미널에서 Hugo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한 후,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hugo new [콘텐츠 섹션]/[파일이름].md
예를 들어 posts
라는 섹션에 my-first-post
라는 제목의 글을 작성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hugo new posts/my-first-post.md
![[Pasted image 20250625153225.jpg]]
명령어를 실행하면 content/posts/
폴더 안에 my-first-post.md
파일이 생성됩니다. 생성된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자동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
title: "My First Post"
date: 2025-06-25T14:30:00+09:00
draft: true
---
(여기에 글의 본문을 작성합니다.)
- title: 파일 이름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큰따옴표 안의 내용을 수정하면 됩니다.
- date: 파일이 생성된 시점의 날짜와 시간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 draft:
true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해당 글이 아직 초안 상태이며, 최종 빌드 시 사이트에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글 작성을 마친 후 이 값을false
로 변경하거나 줄을 삭제하면 정식으로 발행됩니다.
팁:
hugo server -D
명령어로 서버를 실행하면draft: true
상태인 초안 글도 미리보기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외부 마크다운 파일 직접 가져오기#
이미 다른 곳(Notion, Obsidian, Typora 등)에서 작성해 둔 마크다운 파일이 있다면 hugo new
명령어를 거치지 않고 직접 파일 시스템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매우 간단하지만, 한 가지 필수 작업이 있습니다.
직접 추가하는 방법#
- 가져올 마크다운 파일을 준비합니다.
- 파일 최상단에 직접 Front Matter를 추가해야 합니다. Hugo가 해당 파일을 인식하고 처리하려면 최소한
title
과date
정보가 필요합니다. - Front Matter가 추가된 파일을 원하는 콘텐츠 섹션 폴더(예:
content/posts/
)로 복사하거나 이동시킵니다.
예를 들어, my-imported-post.md
라는 파일을 가져온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파일을 텍스트 편집기로 열어 아래와 같이 Front Matter를 직접 작성해 줍니다.
---
title: "외부에서 가져온 나의 포스트"
date: 2025-06-20T10:00:00+09:00
draft: false
tags: ["hugo", "markdown"]
---
이 글은 외부 마크다운 편집기에서 작성되었습니다.
Front Matter만 정확하게 추가해주면 Hugo 사이트에서 문제 없이 인식됩니다.
이렇게 수정한 파일을 content/posts/
폴더에 넣기만 하면 Hugo가 다음 빌드 시 자동으로 이 파일을 포함하여 사이트를 생성합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할까?#
새로운 글을 작성할 때는 hugo new
사용을 권장합니다. 일관된 구조와 필수 정보(특히 draft: true
)를 자동으로 생성해주어 실수를 줄여주고 콘텐츠 관리를 체계적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기존에 작성된 마크다운 파일을 옮겨오거나 다른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이전할 때는 파일을 직접 추가하는 방법이 효율적입니다. 이때 Front Matter를 정확히 추가하는 것만 잊지 않으면 됩니다.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알아두고 상황에 맞게 활용하여 즐겁고 효율적인 Hugo 블로깅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참조